기초창작] 제 2 강 - 시의 여행 (3.대상인식,)
3.대상 인식
대상인식은 대상에 대한 당신의 느낌과 생각을 말합니다.
묘사와 진술에 앞서, 우리는 먼저 대상을 인식하는 방법을 먼저 익혀야 합니다. 그것은 대상을 인식한 후에야 묘사와 진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상인식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집니다.
언어로 느끼고 생각하면서, 또 다른 언어를 만들어낸다는 말입니다. 다시 말하면, 인식한 내용을 묘사와 진술이라는 표현 방법으로 드러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대상 인식은 그대로 보기, 빗대어 보기, 상상하여 보기 등의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그대로 보기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을 말하고, 빗대어 보기는 그대로 본 것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보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상상하여 보기는 그대로 보기나 빗대어 보기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사건이나 상황을 미루어 짐작해 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인식한 것이 묘사와 진술에 의해 표현되는 것입니다.
① 호숫가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이것이 그대로 보기입니다. 대상을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아무 꾸밈없이 옮겨 본 것입니다. 다음은 빗대어 보기. 빗대어 보기의 열쇠는 질문.
연꽃이 무엇같이 피었습니까? 아니면, 연꽃이 무엇처럼 피었습니까?
② 호숫가에 연꽃이 부처님 오신 날의 줄등처럼 피었습니다.
글의 소재인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본 것입니다. 즉 "연꽃"이 무리를 지어 핀 것을 "줄등"에 빗대어 본 것입니다. 다음은 상상하여 보기. 대상을 빗대어 놓으면 상상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상상하여 보기의 열쇠도 질문. "왜? 어떻게?" 등의 여러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이것은 정답이 아닙니다. 해답일 뿐입니다. 상황에 따라 질문이 달라질 수 있고, 질문도, 답도 시인에 따라 다양해 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왜, 그렇게 피었습니까? 어떻게 피었습니까?
여기에서 "왜"는 이유, "어떻게"는 상황을 말합니다.
③ 호숫가에 연꽃이 당신이 오시는 길 밝으라고, 부처님 오신 날의 줄등처럼 여기 저기 피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연꽃은 보다 구체적인 모습으로 다가와 우리의 가슴속에 피어나 불을 밝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상상하기입니다. 여기까지가 대상인식입니다. 이 인식된 내용을 조금만 다듬으면, 시가 될 수 있습니다.
호숫가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당신이 오시는 길 밝으라고
부처님 오시는 날의 줄등처럼
온 동네를 환하게 밝혀 놓고
여름이 다 가도록 피었습니다.
1행은 그대로 보기,
3행은 빗대어 보기,
2행, 4행, 5행은 상상하여 보기입니다.
상상하여 보기 중, 2행은 "왜", 4행과 5행은 "어떻게"에 해당합니다.
대상인식 과정을 나무에 비유한다면 그대로 보기는 씨앗, 빗대어 보기는 싹과 잎, 상상하여 보기는 꽃, 완성된 시는 열매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대상에 대한 감흥입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것이라 해도 당신이 감흥을 받지 않았다면, 그대로 보기나 빗대어 보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감흥은 순간적이며 직관적입니다.
순간적이며 직관적이라는 것은 어떤 대상을 만났을 때, 곧바로 느끼거나 생각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감흥은 그대로 보기와 빗대어 보기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씨가 싹이 되는 순간에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아무리 좋은 씨앗도 햇볕과 공기와 습도가 알맞게 어우러지지 않으면 싹을 틔울 수 없습니다. 이것들이 알맞게 어우러지는 순간에 감흥이 이루어집니다.
햇볕과 공기와 습도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대상을 볼 수 있는 당신만의 눈을 가지게 하는 경험입니다. 이때의 눈을 심미안이라고 합니다.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마음의 눈 말입니다. 그래서 같은 대상을 보고 쓴 시가 시인에 따라 서로 달라지는 것입니다.
어떻게 심미안을 기를 수 있을까요? 그것은 쉬운 것은 아니지만 대상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됩니다. 질문을 가지고 대상에 접근하면 그것들이 많은 이야기를 해 줄 것입니다. 그 이야기들이 쌓여 경험이 되고, 이 경험이 대상을 보는 당신만의 눈을 새롭게 해 줍니다. 이 눈이 당신만의 심미안입니다.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당신은 지금, 들판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들판의 모습은 어떻습니까?
파랗게 물들어 가고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그대로 보기. 주어진 상황을 인식하여 간단하게 옮겨 본 것입니다.
"파랗게 물들어 가는 들판"이 무엇과 같습니까?
이렇게 질문하는 것이 빗대어 보는 방법이라고 했지요?
"한 장의 파란 화선지"
다음은 상상하여 보기입니다.
* 사람은 이 세상에 태어나 분별력이 생기면서부터 만나는 대상에 대해 호기심을 가집니다. 이 호기심이 상상의 시작입니다. 이 호기심은 만나는 대상에 대한 많은 의문을 낳습니다.
의심이 아닙니다. 의심은 죄악을 낳지만, 의문은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인도해 줍니다. 머리 속에 물음표가 들어가면 의심이 되지만, 가슴속에 들어가면 의문이 됩니다. 그 의문에 대한 답이 상상입니다. 그 의문이 꼬리를 물면 우리가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가 나타납니다.
상상하여 보기 방법은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와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가 있습니다.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는 대상에 대한 질문을 통해 얻은 답을 바탕으로 하여 상상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고,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는 인식한 대상에 경험 속의 상황이나 사물을 결합하여 상상의 세계를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를 해 봅시다.
"들판이 화선지라면, 당신은 그것으로 무엇을 하겠습니까?"
"그림을 그린다."
"그림을 그리려면 당신은 무엇이 되어야 합니까?"
"붓."
당신은 붓이 되었습니다. 붓이 되었으면, 그림을 그려야 되겠지요?
"붓으로 무엇을 그리겠습니까?"
"고향."
이것이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 그런데 모든 질문과 답은 당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경험은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똑같은 해를 보고 살면서도 햇빛을 받고 사는 사람이 있고, 햇볕을 쬐고 사는 사람이 있고, 햇살을 맞고 사는 사람이 있듯이 경험은 그에게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질문과 답도 이 경험에 따라 달라져서 상상의 세계도 시인에 따라 다르게 펼쳐집니다.
이젠 인식한 내용을 정리하여 줄거리를 엮어 봅시다. 줄거리를 엮을 때, 서경문, 서사문, 기행문, 반성문, 고백문, 회고문, 기도문, 서간문, 권유문, 광고문, 설명문, 논설문 등등의 틀을 빌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글의 형식을 빌리든, 소설의 구성 3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참고로 하여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3요소에 그대로 맞추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나름대로의 줄거리를 만들어야 시의 틀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선, 소설의 구성 3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짧은 이야기를 엮어 봅시다.
여기에서 인물이란 행동의 주체인 나, 시적 자아가 될 수도 있고, 어떤 사물이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배경은 시 속에 주어진 시대적,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상황을 말합니다. 그리고 사건은 시적 자아나 행동의 주체가 되는 사물이나 대상의 느낌, 생각, 행동, 태도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세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면, 우리는 시의 틀을 쉽게 짤 수 있습니다. 시를 감상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시에 나타난 인물, 사건, 배경을 알아낼 수 있다면 감상이 쉬어진다는 말입니다.
위의 인식한 내용을 간추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리는 묘사와 진술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정리 과정에서도 퇴고는 이루어져야 합니다.
들판이 한 장의 파란 화선지와 같은데, 나는 붓이 되어 거기에 고향을 그리고 싶다.
인물은 "나", 배경은 "들판", 사건은 "고향을 그리고 싶다"로 보면 됩니다. 이것을 다시 한 번 정리해 봅시다.
①들판은 한 장의 파란 화선지
②나는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리고 싶다.
다듬어 봅시다.
① 들판은 한 장의 파란 화선지
시어에 변화를 주어 다시 정리해 봅시다.
들판은 파랗게 번져 오는 화선지 한 장
형용사 "파란"을 "파랗게 번져 오는"으로 고쳐 생동감을 주었습니다. 시구가 길어지면 행을 나누는 것이 좋겠지요?
들판은 파랗게 번져오는
한 장의 화선지
②나는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리고 싶다.
이것도 생동감이 있게 바꿔 봅시다. 생동감을 주기 위해서는 형용사 "그리고 싶다"를 동사의 현재형 "그린다"로 바꾸면 됩니다. 이것도 행을 나누어 정리해 봅시다.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모으면 하나의 짧은 시가 됩니다.
들판은 파랗게 번져오는
한 장의 화선지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시행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것 같지요? 그것은 1연 1행의 글자수가 다른 행에 비해 많기 때문입니다. 말을 바꾸어 보면, 1행은 3음보, 2행은 2음보의 운율로 이루어져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1행을 줄여야겠지요? 무엇을 줄일까요? "들판"이란 시어를 줄이는 것이 좋겠지요? 대신 제목은 "들판"이라고 하면 그 의미가 그대로 살아 남습니다.
들판
파랗게 번져오는
화선지 한 장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1연은 대상을 다른 사물에 빗대어 본 서경적 묘사이고, 2연은 당신의 마음을 고백한 독백적 진술입니다.
* 하나 더 상상해 봅시다. 앞에서는 질문을 통한 방법으로 상상의 세계를 펼쳐 보았습니다. 이젠 경험을 되살리는 방법으로 펼쳐 봅시다.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는 그대로 본 것이나 빗대어 본 것에 당신의 경험 속의 이야기나 풍경, 또는 소재 등을 결합하여 줄거리를 엮어 보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경험이란 당신의 체험일 수도 있고, 책에서 읽은 것일 수도 있고, 남에게 들은 것일 수도 있고, 당신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한 폭의 그림이나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두 방법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쓰인다는 말은 아닙니다. 두 방법은 상호보완적입니다.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도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와 마찬
3.대상 인식
대상인식은 대상에 대한 당신의 느낌과 생각을 말합니다.
묘사와 진술에 앞서, 우리는 먼저 대상을 인식하는 방법을 먼저 익혀야 합니다. 그것은 대상을 인식한 후에야 묘사와 진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상인식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집니다.
언어로 느끼고 생각하면서, 또 다른 언어를 만들어낸다는 말입니다. 다시 말하면, 인식한 내용을 묘사와 진술이라는 표현 방법으로 드러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대상 인식은 그대로 보기, 빗대어 보기, 상상하여 보기 등의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그대로 보기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을 말하고, 빗대어 보기는 그대로 본 것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보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상상하여 보기는 그대로 보기나 빗대어 보기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사건이나 상황을 미루어 짐작해 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인식한 것이 묘사와 진술에 의해 표현되는 것입니다.
① 호숫가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이것이 그대로 보기입니다. 대상을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아무 꾸밈없이 옮겨 본 것입니다. 다음은 빗대어 보기. 빗대어 보기의 열쇠는 질문.
연꽃이 무엇같이 피었습니까? 아니면, 연꽃이 무엇처럼 피었습니까?
② 호숫가에 연꽃이 부처님 오신 날의 줄등처럼 피었습니다.
글의 소재인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본 것입니다. 즉 "연꽃"이 무리를 지어 핀 것을 "줄등"에 빗대어 본 것입니다. 다음은 상상하여 보기. 대상을 빗대어 놓으면 상상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상상하여 보기의 열쇠도 질문. "왜? 어떻게?" 등의 여러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이것은 정답이 아닙니다. 해답일 뿐입니다. 상황에 따라 질문이 달라질 수 있고, 질문도, 답도 시인에 따라 다양해 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왜, 그렇게 피었습니까? 어떻게 피었습니까?
여기에서 "왜"는 이유, "어떻게"는 상황을 말합니다.
③ 호숫가에 연꽃이 당신이 오시는 길 밝으라고, 부처님 오신 날의 줄등처럼 여기 저기 피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연꽃은 보다 구체적인 모습으로 다가와 우리의 가슴속에 피어나 불을 밝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상상하기입니다. 여기까지가 대상인식입니다. 이 인식된 내용을 조금만 다듬으면, 시가 될 수 있습니다.
호숫가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당신이 오시는 길 밝으라고
부처님 오시는 날의 줄등처럼
온 동네를 환하게 밝혀 놓고
여름이 다 가도록 피었습니다.
1행은 그대로 보기,
3행은 빗대어 보기,
2행, 4행, 5행은 상상하여 보기입니다.
상상하여 보기 중, 2행은 "왜", 4행과 5행은 "어떻게"에 해당합니다.
대상인식 과정을 나무에 비유한다면 그대로 보기는 씨앗, 빗대어 보기는 싹과 잎, 상상하여 보기는 꽃, 완성된 시는 열매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대상에 대한 감흥입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것이라 해도 당신이 감흥을 받지 않았다면, 그대로 보기나 빗대어 보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감흥은 순간적이며 직관적입니다.
순간적이며 직관적이라는 것은 어떤 대상을 만났을 때, 곧바로 느끼거나 생각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감흥은 그대로 보기와 빗대어 보기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씨가 싹이 되는 순간에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아무리 좋은 씨앗도 햇볕과 공기와 습도가 알맞게 어우러지지 않으면 싹을 틔울 수 없습니다. 이것들이 알맞게 어우러지는 순간에 감흥이 이루어집니다.
햇볕과 공기와 습도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대상을 볼 수 있는 당신만의 눈을 가지게 하는 경험입니다. 이때의 눈을 심미안이라고 합니다.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마음의 눈 말입니다. 그래서 같은 대상을 보고 쓴 시가 시인에 따라 서로 달라지는 것입니다.
어떻게 심미안을 기를 수 있을까요? 그것은 쉬운 것은 아니지만 대상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됩니다. 질문을 가지고 대상에 접근하면 그것들이 많은 이야기를 해 줄 것입니다. 그 이야기들이 쌓여 경험이 되고, 이 경험이 대상을 보는 당신만의 눈을 새롭게 해 줍니다. 이 눈이 당신만의 심미안입니다.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당신은 지금, 들판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들판의 모습은 어떻습니까?
파랗게 물들어 가고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그대로 보기. 주어진 상황을 인식하여 간단하게 옮겨 본 것입니다.
"파랗게 물들어 가는 들판"이 무엇과 같습니까?
이렇게 질문하는 것이 빗대어 보는 방법이라고 했지요?
"한 장의 파란 화선지"
다음은 상상하여 보기입니다.
* 사람은 이 세상에 태어나 분별력이 생기면서부터 만나는 대상에 대해 호기심을 가집니다. 이 호기심이 상상의 시작입니다. 이 호기심은 만나는 대상에 대한 많은 의문을 낳습니다.
의심이 아닙니다. 의심은 죄악을 낳지만, 의문은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인도해 줍니다. 머리 속에 물음표가 들어가면 의심이 되지만, 가슴속에 들어가면 의문이 됩니다. 그 의문에 대한 답이 상상입니다. 그 의문이 꼬리를 물면 우리가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가 나타납니다.
상상하여 보기 방법은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와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가 있습니다.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는 대상에 대한 질문을 통해 얻은 답을 바탕으로 하여 상상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고,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는 인식한 대상에 경험 속의 상황이나 사물을 결합하여 상상의 세계를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를 해 봅시다.
"들판이 화선지라면, 당신은 그것으로 무엇을 하겠습니까?"
"그림을 그린다."
"그림을 그리려면 당신은 무엇이 되어야 합니까?"
"붓."
당신은 붓이 되었습니다. 붓이 되었으면, 그림을 그려야 되겠지요?
"붓으로 무엇을 그리겠습니까?"
"고향."
이것이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 그런데 모든 질문과 답은 당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경험은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똑같은 해를 보고 살면서도 햇빛을 받고 사는 사람이 있고, 햇볕을 쬐고 사는 사람이 있고, 햇살을 맞고 사는 사람이 있듯이 경험은 그에게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질문과 답도 이 경험에 따라 달라져서 상상의 세계도 시인에 따라 다르게 펼쳐집니다.
이젠 인식한 내용을 정리하여 줄거리를 엮어 봅시다. 줄거리를 엮을 때, 서경문, 서사문, 기행문, 반성문, 고백문, 회고문, 기도문, 서간문, 권유문, 광고문, 설명문, 논설문 등등의 틀을 빌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글의 형식을 빌리든, 소설의 구성 3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참고로 하여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3요소에 그대로 맞추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나름대로의 줄거리를 만들어야 시의 틀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선, 소설의 구성 3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짧은 이야기를 엮어 봅시다.
여기에서 인물이란 행동의 주체인 나, 시적 자아가 될 수도 있고, 어떤 사물이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배경은 시 속에 주어진 시대적,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상황을 말합니다. 그리고 사건은 시적 자아나 행동의 주체가 되는 사물이나 대상의 느낌, 생각, 행동, 태도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세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면, 우리는 시의 틀을 쉽게 짤 수 있습니다. 시를 감상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시에 나타난 인물, 사건, 배경을 알아낼 수 있다면 감상이 쉬어진다는 말입니다.
위의 인식한 내용을 간추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리는 묘사와 진술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정리 과정에서도 퇴고는 이루어져야 합니다.
들판이 한 장의 파란 화선지와 같은데, 나는 붓이 되어 거기에 고향을 그리고 싶다.
인물은 "나", 배경은 "들판", 사건은 "고향을 그리고 싶다"로 보면 됩니다. 이것을 다시 한 번 정리해 봅시다.
①들판은 한 장의 파란 화선지
②나는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리고 싶다.
다듬어 봅시다.
① 들판은 한 장의 파란 화선지
시어에 변화를 주어 다시 정리해 봅시다.
들판은 파랗게 번져 오는 화선지 한 장
형용사 "파란"을 "파랗게 번져 오는"으로 고쳐 생동감을 주었습니다. 시구가 길어지면 행을 나누는 것이 좋겠지요?
들판은 파랗게 번져오는
한 장의 화선지
②나는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리고 싶다.
이것도 생동감이 있게 바꿔 봅시다. 생동감을 주기 위해서는 형용사 "그리고 싶다"를 동사의 현재형 "그린다"로 바꾸면 됩니다. 이것도 행을 나누어 정리해 봅시다.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모으면 하나의 짧은 시가 됩니다.
들판은 파랗게 번져오는
한 장의 화선지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시행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것 같지요? 그것은 1연 1행의 글자수가 다른 행에 비해 많기 때문입니다. 말을 바꾸어 보면, 1행은 3음보, 2행은 2음보의 운율로 이루어져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1행을 줄여야겠지요? 무엇을 줄일까요? "들판"이란 시어를 줄이는 것이 좋겠지요? 대신 제목은 "들판"이라고 하면 그 의미가 그대로 살아 남습니다.
들판
파랗게 번져오는
화선지 한 장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1연은 대상을 다른 사물에 빗대어 본 서경적 묘사이고, 2연은 당신의 마음을 고백한 독백적 진술입니다.
* 하나 더 상상해 봅시다. 앞에서는 질문을 통한 방법으로 상상의 세계를 펼쳐 보았습니다. 이젠 경험을 되살리는 방법으로 펼쳐 봅시다.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는 그대로 본 것이나 빗대어 본 것에 당신의 경험 속의 이야기나 풍경, 또는 소재 등을 결합하여 줄거리를 엮어 보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경험이란 당신의 체험일 수도 있고, 책에서 읽은 것일 수도 있고, 남에게 들은 것일 수도 있고, 당신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한 폭의 그림이나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두 방법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쓰인다는 말은 아닙니다. 두 방법은 상호보완적입니다.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도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와 마찬
기초창작] 제 2 강 - 시의 여행 (3.대상인식,)
3.대상 인식
대상인식은 대상에 대한 당신의 느낌과 생각을 말합니다.
묘사와 진술에 앞서, 우리는 먼저 대상을 인식하는 방법을 먼저 익혀야 합니다. 그것은 대상을 인식한 후에야 묘사와 진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상인식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집니다.
언어로 느끼고 생각하면서, 또 다른 언어를 만들어낸다는 말입니다. 다시 말하면, 인식한 내용을 묘사와 진술이라는 표현 방법으로 드러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대상 인식은 그대로 보기, 빗대어 보기, 상상하여 보기 등의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그대로 보기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을 말하고, 빗대어 보기는 그대로 본 것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보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상상하여 보기는 그대로 보기나 빗대어 보기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사건이나 상황을 미루어 짐작해 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인식한 것이 묘사와 진술에 의해 표현되는 것입니다.
① 호숫가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이것이 그대로 보기입니다. 대상을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아무 꾸밈없이 옮겨 본 것입니다. 다음은 빗대어 보기. 빗대어 보기의 열쇠는 질문.
연꽃이 무엇같이 피었습니까? 아니면, 연꽃이 무엇처럼 피었습니까?
② 호숫가에 연꽃이 부처님 오신 날의 줄등처럼 피었습니다.
글의 소재인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본 것입니다. 즉 "연꽃"이 무리를 지어 핀 것을 "줄등"에 빗대어 본 것입니다. 다음은 상상하여 보기. 대상을 빗대어 놓으면 상상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상상하여 보기의 열쇠도 질문. "왜? 어떻게?" 등의 여러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이것은 정답이 아닙니다. 해답일 뿐입니다. 상황에 따라 질문이 달라질 수 있고, 질문도, 답도 시인에 따라 다양해 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왜, 그렇게 피었습니까? 어떻게 피었습니까?
여기에서 "왜"는 이유, "어떻게"는 상황을 말합니다.
③ 호숫가에 연꽃이 당신이 오시는 길 밝으라고, 부처님 오신 날의 줄등처럼 여기 저기 피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연꽃은 보다 구체적인 모습으로 다가와 우리의 가슴속에 피어나 불을 밝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상상하기입니다. 여기까지가 대상인식입니다. 이 인식된 내용을 조금만 다듬으면, 시가 될 수 있습니다.
호숫가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당신이 오시는 길 밝으라고
부처님 오시는 날의 줄등처럼
온 동네를 환하게 밝혀 놓고
여름이 다 가도록 피었습니다.
1행은 그대로 보기,
3행은 빗대어 보기,
2행, 4행, 5행은 상상하여 보기입니다.
상상하여 보기 중, 2행은 "왜", 4행과 5행은 "어떻게"에 해당합니다.
대상인식 과정을 나무에 비유한다면 그대로 보기는 씨앗, 빗대어 보기는 싹과 잎, 상상하여 보기는 꽃, 완성된 시는 열매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대상에 대한 감흥입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것이라 해도 당신이 감흥을 받지 않았다면, 그대로 보기나 빗대어 보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감흥은 순간적이며 직관적입니다.
순간적이며 직관적이라는 것은 어떤 대상을 만났을 때, 곧바로 느끼거나 생각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감흥은 그대로 보기와 빗대어 보기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씨가 싹이 되는 순간에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아무리 좋은 씨앗도 햇볕과 공기와 습도가 알맞게 어우러지지 않으면 싹을 틔울 수 없습니다. 이것들이 알맞게 어우러지는 순간에 감흥이 이루어집니다.
햇볕과 공기와 습도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대상을 볼 수 있는 당신만의 눈을 가지게 하는 경험입니다. 이때의 눈을 심미안이라고 합니다.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마음의 눈 말입니다. 그래서 같은 대상을 보고 쓴 시가 시인에 따라 서로 달라지는 것입니다.
어떻게 심미안을 기를 수 있을까요? 그것은 쉬운 것은 아니지만 대상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됩니다. 질문을 가지고 대상에 접근하면 그것들이 많은 이야기를 해 줄 것입니다. 그 이야기들이 쌓여 경험이 되고, 이 경험이 대상을 보는 당신만의 눈을 새롭게 해 줍니다. 이 눈이 당신만의 심미안입니다.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당신은 지금, 들판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들판의 모습은 어떻습니까?
파랗게 물들어 가고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그대로 보기. 주어진 상황을 인식하여 간단하게 옮겨 본 것입니다.
"파랗게 물들어 가는 들판"이 무엇과 같습니까?
이렇게 질문하는 것이 빗대어 보는 방법이라고 했지요?
"한 장의 파란 화선지"
다음은 상상하여 보기입니다.
* 사람은 이 세상에 태어나 분별력이 생기면서부터 만나는 대상에 대해 호기심을 가집니다. 이 호기심이 상상의 시작입니다. 이 호기심은 만나는 대상에 대한 많은 의문을 낳습니다.
의심이 아닙니다. 의심은 죄악을 낳지만, 의문은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인도해 줍니다. 머리 속에 물음표가 들어가면 의심이 되지만, 가슴속에 들어가면 의문이 됩니다. 그 의문에 대한 답이 상상입니다. 그 의문이 꼬리를 물면 우리가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가 나타납니다.
상상하여 보기 방법은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와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가 있습니다.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는 대상에 대한 질문을 통해 얻은 답을 바탕으로 하여 상상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고,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는 인식한 대상에 경험 속의 상황이나 사물을 결합하여 상상의 세계를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를 해 봅시다.
"들판이 화선지라면, 당신은 그것으로 무엇을 하겠습니까?"
"그림을 그린다."
"그림을 그리려면 당신은 무엇이 되어야 합니까?"
"붓."
당신은 붓이 되었습니다. 붓이 되었으면, 그림을 그려야 되겠지요?
"붓으로 무엇을 그리겠습니까?"
"고향."
이것이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 그런데 모든 질문과 답은 당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경험은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똑같은 해를 보고 살면서도 햇빛을 받고 사는 사람이 있고, 햇볕을 쬐고 사는 사람이 있고, 햇살을 맞고 사는 사람이 있듯이 경험은 그에게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질문과 답도 이 경험에 따라 달라져서 상상의 세계도 시인에 따라 다르게 펼쳐집니다.
이젠 인식한 내용을 정리하여 줄거리를 엮어 봅시다. 줄거리를 엮을 때, 서경문, 서사문, 기행문, 반성문, 고백문, 회고문, 기도문, 서간문, 권유문, 광고문, 설명문, 논설문 등등의 틀을 빌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글의 형식을 빌리든, 소설의 구성 3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참고로 하여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3요소에 그대로 맞추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나름대로의 줄거리를 만들어야 시의 틀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선, 소설의 구성 3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짧은 이야기를 엮어 봅시다.
여기에서 인물이란 행동의 주체인 나, 시적 자아가 될 수도 있고, 어떤 사물이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배경은 시 속에 주어진 시대적,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상황을 말합니다. 그리고 사건은 시적 자아나 행동의 주체가 되는 사물이나 대상의 느낌, 생각, 행동, 태도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세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면, 우리는 시의 틀을 쉽게 짤 수 있습니다. 시를 감상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시에 나타난 인물, 사건, 배경을 알아낼 수 있다면 감상이 쉬어진다는 말입니다.
위의 인식한 내용을 간추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리는 묘사와 진술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정리 과정에서도 퇴고는 이루어져야 합니다.
들판이 한 장의 파란 화선지와 같은데, 나는 붓이 되어 거기에 고향을 그리고 싶다.
인물은 "나", 배경은 "들판", 사건은 "고향을 그리고 싶다"로 보면 됩니다. 이것을 다시 한 번 정리해 봅시다.
①들판은 한 장의 파란 화선지
②나는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리고 싶다.
다듬어 봅시다.
① 들판은 한 장의 파란 화선지
시어에 변화를 주어 다시 정리해 봅시다.
들판은 파랗게 번져 오는 화선지 한 장
형용사 "파란"을 "파랗게 번져 오는"으로 고쳐 생동감을 주었습니다. 시구가 길어지면 행을 나누는 것이 좋겠지요?
들판은 파랗게 번져오는
한 장의 화선지
②나는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리고 싶다.
이것도 생동감이 있게 바꿔 봅시다. 생동감을 주기 위해서는 형용사 "그리고 싶다"를 동사의 현재형 "그린다"로 바꾸면 됩니다. 이것도 행을 나누어 정리해 봅시다.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모으면 하나의 짧은 시가 됩니다.
들판은 파랗게 번져오는
한 장의 화선지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시행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것 같지요? 그것은 1연 1행의 글자수가 다른 행에 비해 많기 때문입니다. 말을 바꾸어 보면, 1행은 3음보, 2행은 2음보의 운율로 이루어져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1행을 줄여야겠지요? 무엇을 줄일까요? "들판"이란 시어를 줄이는 것이 좋겠지요? 대신 제목은 "들판"이라고 하면 그 의미가 그대로 살아 남습니다.
들판
파랗게 번져오는
화선지 한 장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1연은 대상을 다른 사물에 빗대어 본 서경적 묘사이고, 2연은 당신의 마음을 고백한 독백적 진술입니다.
* 하나 더 상상해 봅시다. 앞에서는 질문을 통한 방법으로 상상의 세계를 펼쳐 보았습니다. 이젠 경험을 되살리는 방법으로 펼쳐 봅시다.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는 그대로 본 것이나 빗대어 본 것에 당신의 경험 속의 이야기나 풍경, 또는 소재 등을 결합하여 줄거리를 엮어 보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경험이란 당신의 체험일 수도 있고, 책에서 읽은 것일 수도 있고, 남에게 들은 것일 수도 있고, 당신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한 폭의 그림이나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두 방법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쓰인다는 말은 아닙니다. 두 방법은 상호보완적입니다.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도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와 마찬
3.대상 인식
대상인식은 대상에 대한 당신의 느낌과 생각을 말합니다.
묘사와 진술에 앞서, 우리는 먼저 대상을 인식하는 방법을 먼저 익혀야 합니다. 그것은 대상을 인식한 후에야 묘사와 진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상인식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집니다.
언어로 느끼고 생각하면서, 또 다른 언어를 만들어낸다는 말입니다. 다시 말하면, 인식한 내용을 묘사와 진술이라는 표현 방법으로 드러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대상 인식은 그대로 보기, 빗대어 보기, 상상하여 보기 등의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그대로 보기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을 말하고, 빗대어 보기는 그대로 본 것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보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상상하여 보기는 그대로 보기나 빗대어 보기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사건이나 상황을 미루어 짐작해 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인식한 것이 묘사와 진술에 의해 표현되는 것입니다.
① 호숫가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이것이 그대로 보기입니다. 대상을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아무 꾸밈없이 옮겨 본 것입니다. 다음은 빗대어 보기. 빗대어 보기의 열쇠는 질문.
연꽃이 무엇같이 피었습니까? 아니면, 연꽃이 무엇처럼 피었습니까?
② 호숫가에 연꽃이 부처님 오신 날의 줄등처럼 피었습니다.
글의 소재인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본 것입니다. 즉 "연꽃"이 무리를 지어 핀 것을 "줄등"에 빗대어 본 것입니다. 다음은 상상하여 보기. 대상을 빗대어 놓으면 상상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상상하여 보기의 열쇠도 질문. "왜? 어떻게?" 등의 여러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이것은 정답이 아닙니다. 해답일 뿐입니다. 상황에 따라 질문이 달라질 수 있고, 질문도, 답도 시인에 따라 다양해 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왜, 그렇게 피었습니까? 어떻게 피었습니까?
여기에서 "왜"는 이유, "어떻게"는 상황을 말합니다.
③ 호숫가에 연꽃이 당신이 오시는 길 밝으라고, 부처님 오신 날의 줄등처럼 여기 저기 피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연꽃은 보다 구체적인 모습으로 다가와 우리의 가슴속에 피어나 불을 밝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상상하기입니다. 여기까지가 대상인식입니다. 이 인식된 내용을 조금만 다듬으면, 시가 될 수 있습니다.
호숫가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당신이 오시는 길 밝으라고
부처님 오시는 날의 줄등처럼
온 동네를 환하게 밝혀 놓고
여름이 다 가도록 피었습니다.
1행은 그대로 보기,
3행은 빗대어 보기,
2행, 4행, 5행은 상상하여 보기입니다.
상상하여 보기 중, 2행은 "왜", 4행과 5행은 "어떻게"에 해당합니다.
대상인식 과정을 나무에 비유한다면 그대로 보기는 씨앗, 빗대어 보기는 싹과 잎, 상상하여 보기는 꽃, 완성된 시는 열매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대상에 대한 감흥입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것이라 해도 당신이 감흥을 받지 않았다면, 그대로 보기나 빗대어 보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감흥은 순간적이며 직관적입니다.
순간적이며 직관적이라는 것은 어떤 대상을 만났을 때, 곧바로 느끼거나 생각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감흥은 그대로 보기와 빗대어 보기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씨가 싹이 되는 순간에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아무리 좋은 씨앗도 햇볕과 공기와 습도가 알맞게 어우러지지 않으면 싹을 틔울 수 없습니다. 이것들이 알맞게 어우러지는 순간에 감흥이 이루어집니다.
햇볕과 공기와 습도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대상을 볼 수 있는 당신만의 눈을 가지게 하는 경험입니다. 이때의 눈을 심미안이라고 합니다.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마음의 눈 말입니다. 그래서 같은 대상을 보고 쓴 시가 시인에 따라 서로 달라지는 것입니다.
어떻게 심미안을 기를 수 있을까요? 그것은 쉬운 것은 아니지만 대상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됩니다. 질문을 가지고 대상에 접근하면 그것들이 많은 이야기를 해 줄 것입니다. 그 이야기들이 쌓여 경험이 되고, 이 경험이 대상을 보는 당신만의 눈을 새롭게 해 줍니다. 이 눈이 당신만의 심미안입니다.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당신은 지금, 들판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들판의 모습은 어떻습니까?
파랗게 물들어 가고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그대로 보기. 주어진 상황을 인식하여 간단하게 옮겨 본 것입니다.
"파랗게 물들어 가는 들판"이 무엇과 같습니까?
이렇게 질문하는 것이 빗대어 보는 방법이라고 했지요?
"한 장의 파란 화선지"
다음은 상상하여 보기입니다.
* 사람은 이 세상에 태어나 분별력이 생기면서부터 만나는 대상에 대해 호기심을 가집니다. 이 호기심이 상상의 시작입니다. 이 호기심은 만나는 대상에 대한 많은 의문을 낳습니다.
의심이 아닙니다. 의심은 죄악을 낳지만, 의문은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인도해 줍니다. 머리 속에 물음표가 들어가면 의심이 되지만, 가슴속에 들어가면 의문이 됩니다. 그 의문에 대한 답이 상상입니다. 그 의문이 꼬리를 물면 우리가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가 나타납니다.
상상하여 보기 방법은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와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가 있습니다.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는 대상에 대한 질문을 통해 얻은 답을 바탕으로 하여 상상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고,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는 인식한 대상에 경험 속의 상황이나 사물을 결합하여 상상의 세계를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를 해 봅시다.
"들판이 화선지라면, 당신은 그것으로 무엇을 하겠습니까?"
"그림을 그린다."
"그림을 그리려면 당신은 무엇이 되어야 합니까?"
"붓."
당신은 붓이 되었습니다. 붓이 되었으면, 그림을 그려야 되겠지요?
"붓으로 무엇을 그리겠습니까?"
"고향."
이것이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 그런데 모든 질문과 답은 당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경험은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똑같은 해를 보고 살면서도 햇빛을 받고 사는 사람이 있고, 햇볕을 쬐고 사는 사람이 있고, 햇살을 맞고 사는 사람이 있듯이 경험은 그에게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질문과 답도 이 경험에 따라 달라져서 상상의 세계도 시인에 따라 다르게 펼쳐집니다.
이젠 인식한 내용을 정리하여 줄거리를 엮어 봅시다. 줄거리를 엮을 때, 서경문, 서사문, 기행문, 반성문, 고백문, 회고문, 기도문, 서간문, 권유문, 광고문, 설명문, 논설문 등등의 틀을 빌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글의 형식을 빌리든, 소설의 구성 3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참고로 하여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3요소에 그대로 맞추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나름대로의 줄거리를 만들어야 시의 틀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우선, 소설의 구성 3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짧은 이야기를 엮어 봅시다.
여기에서 인물이란 행동의 주체인 나, 시적 자아가 될 수도 있고, 어떤 사물이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배경은 시 속에 주어진 시대적,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상황을 말합니다. 그리고 사건은 시적 자아나 행동의 주체가 되는 사물이나 대상의 느낌, 생각, 행동, 태도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세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면, 우리는 시의 틀을 쉽게 짤 수 있습니다. 시를 감상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시에 나타난 인물, 사건, 배경을 알아낼 수 있다면 감상이 쉬어진다는 말입니다.
위의 인식한 내용을 간추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리는 묘사와 진술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정리 과정에서도 퇴고는 이루어져야 합니다.
들판이 한 장의 파란 화선지와 같은데, 나는 붓이 되어 거기에 고향을 그리고 싶다.
인물은 "나", 배경은 "들판", 사건은 "고향을 그리고 싶다"로 보면 됩니다. 이것을 다시 한 번 정리해 봅시다.
①들판은 한 장의 파란 화선지
②나는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리고 싶다.
다듬어 봅시다.
① 들판은 한 장의 파란 화선지
시어에 변화를 주어 다시 정리해 봅시다.
들판은 파랗게 번져 오는 화선지 한 장
형용사 "파란"을 "파랗게 번져 오는"으로 고쳐 생동감을 주었습니다. 시구가 길어지면 행을 나누는 것이 좋겠지요?
들판은 파랗게 번져오는
한 장의 화선지
②나는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리고 싶다.
이것도 생동감이 있게 바꿔 봅시다. 생동감을 주기 위해서는 형용사 "그리고 싶다"를 동사의 현재형 "그린다"로 바꾸면 됩니다. 이것도 행을 나누어 정리해 봅시다.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모으면 하나의 짧은 시가 됩니다.
들판은 파랗게 번져오는
한 장의 화선지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시행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것 같지요? 그것은 1연 1행의 글자수가 다른 행에 비해 많기 때문입니다. 말을 바꾸어 보면, 1행은 3음보, 2행은 2음보의 운율로 이루어져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입니다. 1행을 줄여야겠지요? 무엇을 줄일까요? "들판"이란 시어를 줄이는 것이 좋겠지요? 대신 제목은 "들판"이라고 하면 그 의미가 그대로 살아 남습니다.
들판
파랗게 번져오는
화선지 한 장
나, 붓이 되어
고향을 그린다.
1연은 대상을 다른 사물에 빗대어 본 서경적 묘사이고, 2연은 당신의 마음을 고백한 독백적 진술입니다.
* 하나 더 상상해 봅시다. 앞에서는 질문을 통한 방법으로 상상의 세계를 펼쳐 보았습니다. 이젠 경험을 되살리는 방법으로 펼쳐 봅시다.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는 그대로 본 것이나 빗대어 본 것에 당신의 경험 속의 이야기나 풍경, 또는 소재 등을 결합하여 줄거리를 엮어 보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경험이란 당신의 체험일 수도 있고, 책에서 읽은 것일 수도 있고, 남에게 들은 것일 수도 있고, 당신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한 폭의 그림이나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두 방법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쓰인다는 말은 아닙니다. 두 방법은 상호보완적입니다. 질문을 통한 상상하기도 경험을 되살려 상상하기와 마찬
'문학 > 문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되살려 쓸 수 있는 우리말 (0) | 2012.01.16 |
---|---|
기초창작 (제1강) 시의 여행 <시의 개념. 묘사와 진술> (0) | 2010.11.01 |
기초창작(제3강) 시의 여행 <여행연습> (0) | 2010.11.01 |
기초창작 (제4강) 시의 여행 <표현기법> (0) | 2010.11.01 |
기초창작 (제6강) 시의여행<표현기법> (0) | 201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