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려주고 도와주는 여유
일본의 토리섬에 서식하다 북태평양에서 월동하는 커다란 날개를 갖고 있지만 잘날지 않고 뒤뚱거리며 걸어 다니는 새가 있다고 한다. 갈매기와 유사하지만 커다란 등치와 엄청나게 큰 날개를 갖고 있으면서도 좀처럼 날지 않고 해변을 서성이고 있다. 큰 바닷새의 모습은 토리섬 아이들의 조롱감으로 전락해 아이들이 장난으로 돌을 던지면 조금 빠른 걸음으로 돌을 피할뿐 날아가지 않는다. 이 큰 바닷새를 손쉽게 맨손으로 잡을수도 있어 섬아이들은 커다란 날개를 갖고 있지만 잘 날지 못하고 행동이 느린 이 바닷새를 바보새라고 부르며 놀려주고 있었다. 커다란 양쪽 날개를 완전히 펴면 최대 3미터 이상이나 되는 엄청난 날개의 길이를 보유하고 있다.
신체적 조건으로 지상에서는 자신의 커다란 날개가 오히려 생활하는데 방해가 되고
자신이 자유자재로 자기몸을 다루지 못해 평소에는 잘날지도 못하는 바보 바닷새로 오해 받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바닷새가 알바트로스 라고 한다.
일반적인 새들처럼 상승 온난기류를 타고 나는 대신에 해변가에 서식하면서 파도에의해 발생하는 바람이 만들어주는 양력을 이용해 하늘로 나는 독특한 바닷새라고 한다. 해안절벽을 서성이다가 강한 바람을 동반한 커다란 파도가 몰아치면 몇번의 날개짓만으로도 폭풍우를 뚫고 하늘높이 솟아 오르는 알바트로스의 나는 모습을 처음 바라보는 사람들은 감탄과 탄성을 자아내고야 만다고 한다. 모든새들이 비행을 멈추고 자신의 안전을 위해 몸을 감추고 숨는 시기에
알바트로스는 용감하게 자리를 박차고 폭풍우를 뚫고 하늘높이 나는 비행에 나선다. 날개덮깃은 어두운 회갈색, 부리는 엷고 붉은 색을 띈 자색, 끝부분은 흰색의 외모를 가진 큰 바닷새인
알바트로스는 한번 날기 시작하면 다른 어떤 새보다도 더멀리 더 오래 날수 있다고 한다. 이륙하기위한 몇번의 날개짓이 필요할뿐 창공에 제대로 날기 시작하면
몇일동안 별다른 날개짓도 없이 쉬지않고 비행할수 있는 능력이 있고
위성추적으로 알아보니 두달안에 지구를 일주할수 있는 뛰어난 비행실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알바트로스의 뇌의 두반구가 교대로 작동하여 날면서도 잘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놀라운 조사결과도 있어
과거의 뱃사람들에게는 엄청난 크기의 날개와 놀라운 비행실력으로 신비의 바닷새 , 전설의 바닷새로 불리기 까지 했다고 한다. 이일과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20세기과학시대를 연 발명왕으로 유명한 에디슨이 생각났다.
어린시절 상상력과 호기심이 풍부했지만 학교공부에는 흥미가 없어 성적은 바닥을 헤매고 문제아, 말성꾸러기로 낙인찍혀 초등학교조차 얼마다니지 못했다고 한다. 제대로 받지 못했지만 철저한 가정교육과 자신의 탐구노력등으로 백열전구,축음기,등을 발명하는등 그밖의 1000여개의 발명특허를 보유하고 있을정도로 유명한 발명왕으로 성장할수 있었다. 에디슨전기를 읽으면서 발명왕을 꿈꾸었지만 정례화된 교육과정의 틀속에 얶매여 규격화 되고 제한적인 학생시절을 보낸 것같다. 가르쳐주는 수업내용을 토씨 하나 틀리지 않게 받아적고 무조건 암기하는 방식인 주입식, 암기식의 교육에 익숙하게 되었다.
자신이 목표하는 대학의 선발방식에 따라 공부하는 방향이 결정되고, 정착화 되어 있는 기존의 교육과정의 틀을 벗어나서 새로운 방식의 공부방법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제대로 따라오지 못하는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낙오되고,
산만하거나,집단학교생활에 잘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수업분위기를 망친다는 이유로 주위로부터 집단 따돌림을 당해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할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하는 경우도 있다. 교육제도하에서는 학업성과가 떨어지는 학생들을 진득하게 기다려 주기가 어려운 교육환경이다.
유명학교 진학율을 높이기 위한 조급증과 성과주의에 매몰되어 성적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개별지도를 통해 평균수준으로 항상시킨다는 것을 기대한다는 것은 지금의 교육환경에서는 사실상 무리다. 양육강식의 룰처럼 따라올수 있는 학생만 생존하게 되는 교육구조다
시간여유를 갖고 진득하게 기다려주고 개별지도하며 잘 적응할수 있도록 도와주고 격려하며 지켜봐주는 여유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교육제도에 잘적응하는 평범한 학생들과 많이 다르지만
기다려 주고 도와주며 돌봐주다보면 현재에는 그들이 갖고 있는 학습능력은 많이 부족하지만
그들속에 감춰져 있는 잠재력과 미완의 가능성을 찾아내 마음껏 발휘할수 있게 하는 기회는 항상 제공되어야 한다. 정상교육과정에서 내몰리는 억울한 학생들이 없도록 세심한 도움과 지원을 통해 더이상 낙오되는 학생들이 없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by/이철훈
|
'문학 >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의 그림자 정부 (0) | 2016.09.23 |
---|---|
[스크랩] ◆<必讀>취업을 위한 전략 (0) | 2016.09.21 |
[스크랩] ◆<必讀>마음에 박힌 낡은 못을 뽑아내자 (0) | 2016.09.21 |
[스크랩] ◆<一讀>김대중의 햇볓정책 그늘속에 가려진 우리들의 자화상 (0) | 2016.09.16 |
[스크랩] ◆섬뜩한 안희정의 대선 출사표 (0) | 2016.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