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백의총 외삼문
이곳은 임진왜란 때 조헌선생과 영규대사가 이끄는 의병이 왜군과의 싸움에서 순절한 700 의사의 묘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헌선생은 의병을 일으켜 선조 25년 8월 1일 영규대사와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고, 18일에는 호남 순찰사인 권율장군이 이끄는 관군과 함께 금산의 적을 협공하기로 약속하였다. 그러나 권율장군은 왜적의 기세로 보아, 아군은 중과부적의 열세임을 탐지하고 작전을 바꾸어 기일을 늦추자는 편지를 조헌선생에게 띄웠으나 미처 받아보지 못한 채 출병한 선생의 의병부대는 필사무퇴의 결전을 벌이다가 모두 순절하였다. 조헌 선생의 제자 박정량과 전승업은 싸움이 있은 4일 후 칠백의사의 유해를 한 무덤 에 모시고 칠백의총이라 했다.
그 후 선조 36년(1603)에 [중봉 조헌선생 일군순의비]를 세우고 인조 25년(1647)에는 사당 을 건립하여 칠백의사의 위패를 모셨다. 현종 4년(1663), 이 사당에 종용사라는 사액과 토지를 내렸으며 대대로 제사를 받들어 왔다. 종용사에는 칠백의사 이외에 금산 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 선생과 그 막좌 및 사졸, 그리고 횡당촌 싸움에서 순절한 변응정 선생과 무명의사 등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하여 왔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종용사를 헐고 순의비 를 폭파한 후 칠백의총의 토지를 강제로 팔아 경역을 황폐하게 만들어, 항일유적을 말살하였다. 광복 후 1952년에 군민들이 성금을 모아 의총과 종용사를 다시 지었고 1970년에 묘역 을 확장한 후 종용사와 순의비를 새로 지었으며, 1976년에는 기념관을 신축하여 순절한 칠백의사의 숭고한 호국정신을 이어받게 하고 있다.
* 순의비각
중봉 조헌이 비각에는 선생 일군 순의비의 파비가 보존되어 있다. 이 비는 임진왜란 때 조헌선생과 승장영규대사를 따라 청주를 수복하고 금산 싸움에서 순절하기까지 행적을 쓴 것이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금산 경찰서장 일본인 이씨까와 미찌오에 의하여 이 비가 폭파되었던 것을 인근 주민들이 뒷산에 묻어두었다가 8.15 해방 후에 다시 파내어 보관중 1971년 4월에 그 파비를 붙여서 다시 세우고 비각을 건립한 것이다.
* 문화재청 주관으로 매년 9월 23일 15시 제향 행사실시(칠백의총 관리소 주최)
* 주요 소장 문화재
1) 보물 제1007호(6종 7점) - 조천일기, 제문 2점, 선조대왕 교서, 중봉선생 교지(조헌 문과급제 교지), 전통(화살통), (조헌의병장 제수교서), 조헌 문묘배향 교서
2) 기타 유물 (8점) - 중봉전집, 항의신편 및 목각판, 심원록, 정기록, 마상격문, 창살, 세독충정, 제봉문집
* 순의비각
중봉 조헌이 비각에는 선생 일군 순의비의 파비가 보존되어 있다. 이 비는 임진왜란 때 조헌선생과 승장영규대사를 따라 청주를 수복하고 금산 싸움에서 순절하기까지 행적을 쓴 것이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금산 경찰서장 일본인 이씨까와 미찌오에 의하여 이 비가 폭파되었던 것을 인근 주민들이 뒷산에 묻어두었다가 8.15 해방 후에 다시 파내어 보관중 1971년 4월에 그 파비를 붙여서 다시 세우고 비각을 건립한 것이다.
* 문화재청 주관으로 매년 9월 23일 15시 제향 행사실시(칠백의총 관리소 주최)
금산위성통신쎈터
1500여년의 년륜을 자랑하는 천연기념물제365호 보석사 은행나무
승병장 영규대사의 얼이 서린 보갑사
'역사.문화 > 관광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웅진) 부여(사비) 백제문화 탐방 (0) | 2017.05.21 |
---|---|
[스크랩] 정동심곡 바다부채길 (0) | 2017.01.06 |
[스크랩] ◆<必讀>나평(羅平) 과 홍하(紅河). (0) | 2016.09.16 |
문화의 용광로 모로코 (0) | 2016.08.27 |
세계테마기행-남아시아의 등불 방글라데시 (0) | 2016.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