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必讀>좋은 글 빨리 쓰기 요령 ◆좋은 글 빨리 쓰기 요령 인간의 사회생활은 궁극적으로 글쓰기이다. 글을 잘 쓰는 사람이 출세하고 돈을 번다. 글은 왜 쓰는가? 남에게 알리기 위하여 쓴다. 무엇을 알리고 싶은가? 자신만 아는 감동과 신기함과 비밀을 알리고 싶은 것이다. 글을 쓰는 사람은 감동할 줄 아는 사람, 신기.. 문학/문학이론 2015.06.06
고수는 사람까지 얻는다 ◆고수는 사람까지 얻는다 인생을 백 개의 계단으로 나타낸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흔여덟 번째 계단에서 고비를 만나다고 한다. 두 계단만 더 올라서면 새로운 세상이 펼쳐지는데도 더 이상은 힘들어서 못 가겠다며 그대로 주저앉는다. 그런데 여기서 멈추면 열 번째 계단이나 오십 .. 문학/문학이론 2015.05.08
[스크랩] ◆‘찍찍이’ 부모 ◆‘찍찍이’ 부모 앵무새에겐 말을 곧잘 따라 하는 것 말고도 사람과 닮은 구석이 또 있다. 날갯짓 배우기 무섭게 독립시키는 다른 새들에 비해 새끼의 응석을 오래 받아주는 게 그렇다. 앵무새 새끼는 마치 갓난아기처럼 바닥에 등을 대고 누운 채 부모가 물어다 주는 먹이로 배를 채운.. 문학/문학이론 2015.03.04
[스크랩] ◆영혼에 활력을 주는 법` 외 4편 ◆영혼에 활력을 주는 법' 외 4편 ◑영혼에 활력을 주는 법 나이 듦에 대한 시각을 바꾸어라. 어디에서나 사랑을 찾아라. 함께함을 기뻐하라. 현재에 살아라. 진정한 자아를 찾아라. 용서하라. 아낌없이 베풀어라. 삶의 의미를 발견하라. 감정의 포로가 되지 말라. ◑전쟁에 참가한 여왕 열.. 문학/문학이론 2015.01.12
[스크랩] ◆<一讀>고독에 답변하는 자매 ◆고독에 답변하는 자매 우리는 도토리 자매입니다. 이 홈페이지 안에만 존재하는 자매죠. 별거 아닌 얘기를 나누다 보면 마음이 차분하게 가라앉는 일, 없으세요? 언제든 우리에게 메일 주세요. 어떤 내용이든 괜찮습니다. 정해진 틀 안에, 정해진 글자 수만큼이라는 규칙은 있지만요. .. 문학/문학이론 2015.01.08
[스크랩] ◆<必讀>지자요수 인자요산 (知者樂水 仁者樂山) ◆지자요수 인자요산 (知者樂水 仁者樂山) 지자요수 인자요산 (知者樂水仁者樂山)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 은 산을 좋아한다. [註] <樂>은 음악이라는 명사일 때는 <악>으로 읽고, 즐겁다는 형용사일 때는 <낙>으로 읽고, 좋아한다는 동사일 때는 <요>라.. 문학/문학이론 2014.12.10
[스크랩] ◆<苾牘>시인 백석과 통영 ◆시인 백석과 통영 시인 백석. 이 땅의 시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이다. 그는 30대가 되기도 전에 한반도에서 가장 뛰어난 서정시인으로 입지를 굳힌다. 그의 시는 발표될 때마다 화제를 낳고, 그의 시가 실린 잡지는 책방에 나오기 무섭게 팔려나갔다. 그러나 일반 사람들에게는 그렇.. 문학/문학이론 2014.09.14
우리글 바로쓰기 우리 글 바로 쓰기 1. 한글 자음이름 영어의 알파벳은 알면서 한글 자음은 제대로 모른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는 지식 이전에 국어를 쓰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상식이기 때문입니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 문학/문학이론 2012.01.19
되살려 쓸 수 있는 우리말 되 살려 쓸 수 있는 우리말 <이기문 지은 ‘국어의 현실과 이상’-문학과 지성사. 1997에서 옮겨옴> 갊다 : 간직하다. “갊아 두었던 붓이 거의 다 좀이 먹고......” 기이다 : 일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다. “조금도 기이지 말고 바른대로 말해라.” 깜냥 : 지니고 있는 힘의 정도. .. 문학/문학이론 2012.01.16
기초창작 (제1강) 시의 여행 <시의 개념. 묘사와 진술> [기초창작] 제 1 강 - 시의 여행 (1.시의 개념, 2.표현 방법<묘사와 진술>) 1. 시의 개념 예술은 어떤 대상(사물과 현상)에 대한 인식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중, 언어를 도구로 하는 것이 문학, 문학 중에서 운율을 강조하는 것이 운문, 운문의 대표적인 형태가 시입니다. 다시 정리하.. 문학/문학이론 2010.11.01